기출문제분석과각 과목별 수험전략 > 시험정보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대표이미지

Home 시험정보

시험정보

제목 : 기출문제분석과각 과목별 수험전략…

작성일
2014.04.09
작성자
명품 출판사

 

기출문제분석과각 과목별 수험전략

 

(1) 기출문제 분석

① 유통관리사 제도는 2004년에 처음 도입되어 그해 10월 30일 제1회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총 18회에 걸쳐 시험을 시행 하였습니다.

② 현재는 상당한  난이도를 유지하고 있고 수험 준비생은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6개월에서 3개월의 기간에 하루 1~2두 시간 정도의 이론을 습득해야 합격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③ 유통관리사 2급은 현장에서 근무하는 중간관리자의 입장이기 때문에 유통업무의 기본적인 지식과 소양 및 자질을 검증하는 단계로 진행되고 있으며 가장 적합한 수험기조라고 생각한다.

④ 총 4과목으로 이루어진 내용에서 특별히 어느 단원이라고 지칭할 것 없이 현대를 살아가는 일반인들이 알고 있으면 상당히 좋은 이론과 학문적인 지식을 어렵지 않게 열거를 하였으므로 상식적인 수준에서 풀 수 있는 문제도 있지만, 전문적인 용어가 상당수를 차지하고 있기에 심도 있는 학습자세가 필요합니다.

⑤ 2012년 이후에는 시간적인 배분이 합격의 당락에 절대적인 의미를 차지할 것이므로 지문을 파악하고, 핵심적인 용어를 순발력 있게 정답과 연결하는 반복적인 학습이 필요할 것입니다.


(2) 과목별 수험전략

① 제1과목:유통물류 일반관리

㉠ 유통물류관리는 전체과목 중 가장 까다롭고 어려운 과목이므로 유통관리사 전체적인 흐름을 이해하고, 물류에 대해서도 일반적인 이론이 기출 되지만 유통관리 단원을 중점적으로 학습하여야 한다.

㉡ 유통의 이해를 숙지하고 도소매업의 형태와 분류 및 소매업에 대한 다양한 이론들을 명확히 파악하며, 소매업에서도 유형적인 설비를 갖춘 것과 무점포 소매업의 내용등도 분명하게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 물류문제는 매회 5~6문제정도가 출제되고 있는데 교재의 기본적인 내용을 응용하는 수준까지 출제되고 있으며 또한 유통정보와 혼합되어 출제되는 소매정보 활용이라든가 e-Retailing 관리 등도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② 제2과목:상권분석

㉠ 상권분석은 소매입지와 입지 선택 및 상권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이중 소매입지 부문에서 약 40% 가량 출제되고 있으며, 그 외에서 60% 출제가 되고있다. 상권조사와 입지선택의 순서로 출제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소매입지를 중점적으로 학습하여야 한다.

㉡ 입지유형별로 도심입지(CBDs), 노면독립입지(Free Standing sties), 복합용도개발지역(MXDs), 스트립 쇼핑센터의 종류와 개념 및 장점과 단점에 대해서도 명확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 상권분석에서 기존점포와 신규점포의 중 어느 것이 정확하게 분석을 할 수있는 가에서부터 신규점포의 분석방법인 체크리스트, 유추법, 중심지이론, 레일리 법칙,허프모델은 거의 매년 출제가 되고 있으며, 특히 컨버스이론과 허프모델에서는 계산문제가 2011년에도 출제가 되었듯이 반드시 숙지를 하고 있어야 한다.


③ 제3과목:유통 마케팅

유통 마케팅은 시행기관의 출제기준표에는 점포관리와 상품관리 및 판매촉진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명품유통관리사 기본서에는 마케팅총론을 넣었는데 이 챕터에서 9문제정도가 출제가 되고 있다.

유통 마케팅은 다른 과목에 비해 40문제가 출제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난이도가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전체적으로는 그리 큰 어려운 문제는 아니라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 유통 마케팅 그 자체로서 마케팅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소매점포의 조직이나 인사관리에 접근해야만 한다. 특히 점포의 레이아웃(Lay out) 문제나 무점포소매업의 관리 등에 대해서도 보다 명확한 이해를 해야 한다.

㉣ 상품을 구성할 때 폭(width)과 깊이(depth)의 문제, 재고를 언제 발주하여 어떻게 보관해야 효율적이 되는가. 또한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이 얼마나 이루어져야 우리에게 높은 충성도를 보이는지에 대해서도 명확한 인식이 필요하다.



④ 제4과목:유통정보

㉠ 유통정보에는 유통정보를 이해하고 그러한 바탕에 시스템을 만들어서 유통과 물류에 어떠한 유용한 정보를 주는지를 알아야 하고 또한 전자상거래에 대한 내용도 알아야 한다.

㉡ 바코드(Bar Code)는 다양한 형태가 있지만 깊이 있는 공부를 할 필요는 없으며, EAN 코드KAN-13KAN-8ISBNEAN-14 등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한다. 또한 VANEDICALS 등의 유통물류 일반관리에서 나오는 내용도 반복 숙지해야 한다.

㉢ 공급체인망 관리(SCM)은 다양한 측면에서 물을 수 있으며 고객관계 관리(CRM) 역시 간혹 출제되는 경향이 있다. 특히 e-Catalog 등의 신물류정보 시스템의 이해는 명확히 해야 하고 전자결제 시스템의 다양한 화폐 종류는 반드시 숙지하고 있어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접속자집계

오늘
65
어제
63
최대
106
전체
70,662
회사소개 개인정보취급방침 서비스이용약관 Copyright © www.luxurybook.co.kr All rights reserved.

░좋은 책 만들기 생각 100년!░ 서울시 은평구 통일로 1010 포레스트게이트 2521호 ░ 전화 : 02-385-2002 ░ 팩스 : 02-384-2030 ░ 홈피 : www.luxurybook.co.kr ░ 메일 : luxurybooks@naver.com

상단으로